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양귀자) 줄거리 및 정리

2023. 1. 27. 05:16소설 감상

728x90
반응형

<줄거리>

서울에 직장이 있는 ’는 비싼 서울 집값 때문에 외곽인 부천 원미동에 처음으로 자신의 집 연립 주택을 사서 이사 오지만, 날림 공사로 인한 하자가 자주 발생한다.

어느 날 목욕탕 배수관이 터져 아랫집 천장으로 물이 새자 아랫집에서 쫓아 올라온다. 지물포 주인의 소개로 임 씨에게 수리를 맡긴다. 임 씨는 원래 연탄장수로, 연탄이 팔리지 않는 여름에만 이런 공사를 한다는 말을 듣고 그는  씨에게 목욕탕 공사를 맡긴 것을 후회한다.

목욕탕을 뜯어 보니 수리가 처음 계산했던 것보다 간단하다는 말에 그와 그의 아내는 미리 받아 놓은 견적이 너무 많은 것 같다며 임 씨를 사기꾼으로 오해한다. 의 아내는 안방으로 비가 새는  옥상 방수 공사를 추가로 부탁한다.

임씨는 날이 어두워지도록 성실하고 꼼꼼하게 방수 공사를 한다. 그와 아내는 자신이 주무르고 있는 일감에  치의 틈도 없이 밀착되어 날렵 하게 움직이고 있는  씨를 보며, 임 씨가 견적대로의 돈을  받기가 민망하여 일부러 지어내 보이는 열정이라고 여겼었지만 수리를 끝낸 임 씨는 처음 견적보다 훨씬 적은 비용을 청구하며 옥상 공사의 노임은 서비스라고 한다. '그'는 임 씨의 수고에 비해 너무 적은 돈을 준 것 같아 미안한 마음으로 임 씨를 배웅하러 나가는데 그는 맥주를 한 잔 하자고 한다. 형제 수퍼에서 맥주를 마시며 임 씨는 술자리에서 비 오는 날이면 떼인 돈을 받으러 가리봉동에 가는 사연을 말한다. 스웨터 공장을 하던 사장에게 일 년치의 연탄을 대줬는데 사장이 야반도주를 해서 그는 돈을 떼이고 말았다. 가리봉동에 더 크게 공장을 차렸다는 소문을 듣고 연탄값을 받으러 갔지만 사장은 자기의 상황과 처지를 과장하며 돈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임 씨네는 여섯 식구가 반지하에 월세로 살고 있고 아내도 벽돌 공장을 나가고 있지만 아이들에게 달걀후라이 하나 마음 놓고 해주지 못하고 곰국 한 번 끓여주지 못하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

평일에는 노가다 일을 해야하고 노가다 일을 할 수 없는 비가 오는 날은 가리봉동에 돈을 받으러 간다는 임 씨의 사연을 형제슈퍼의 김 씨는 뜨는 날은 벌어서 좋고, 오는 날은 받아서 좋고, 조오타!”로 장단을 맞춘다.

 

<작품 정리>

갈래 연작 소설세태 소설

성격 사실적현실 비판적

배경 : 시간적-1980년대, 공간적-서울 주변 소도시의 한 동네(부천 원미동)

주제 : 소시민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상의 갈등과 화해

 

특징 :  등장인물의 대화와 행동을 통해 사건을 전개함.

          ② 등장인물인 ‘그’의 생각을 직접 제시하여 공감을 유도함.

          ③ 실제 공간을 배경으로 소시민의 삶을 사실적으로 그림.

          ④ 비속어와 방언 등 구어적 표현을 통해 현장감을 높임.

 
 

 < 등장인물의 성격>

 
  성격
소심하지만 부끄러움을 아는 이성적 인물.
임 씨의 입장을 고려하여 그와 동갑이라고 속임 -> 사려 깊고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인물
아내 인색할 정도로 알뜰한 주부.
임 씨를 의심하며 견적서보다 적은 공사비를 지급하려함 -> 계산적이며 금전적 문제에 민감한 현실적 인물
임 씨 전형적인 도시 빈민 노동자.
옥상 공사를 꼼꼼히 수행하고 견적서보다 적은 공사비를 청구함-> 꼼꼼하고 책임감이 강하며, 정직하고 성실한 인물
스웨터 공장 사장 경제적인 부를 누리면서도 연탄값을 지불하지 않음-> 부도덕하고 탐욕스러운 인물
 

 

< 의 심리 변화>

임 씨가 옥상을 공사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견적서대로 공사비를 받기 위해 일부러 열심히 일하는 척하는 것은 아닌지, 공사비를 부풀려 받으려 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경계함.   의심과 갈등
   
     
임 씨가 수리비를 수정하여 내놓았을 때   임 씨의 순박하고 정직한 모습에 놀라며 그를 의심했던 자신의 모습에 대해 부끄러워하며 반성함.
      화해와 공존
   
 
슈퍼에서 임 씨의 사연을 들었을 때   임 씨의 슬픔에 공감하며 그에게 연민을 느낌.
     

 

<공간적 배경의 의미>

 

원미동   가리봉동
도시의 변두리에 위치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서울에 편입되지 못한 소시민들이 밀려와 살던 곳
임 씨의 삶의 터전
+ 도심에 위치한 공장 밀집 지역
공장 주인이 노동자들을 착취하는 곳
공장 노동자들의 생활 공간
가난한 사람들의 진솔한 삶의 모습을 보여 주는 공간
부조리와 모순에 가득 찬 1980년대 한국 사회의 모습을 대변하는 공간

 

< ‘원미동의 의미>

원미동멀고 아름다운 동네라는 의미로, 1980년대 생활상을 보여 주는 상징적·보편적인 공간이다. 이때 멀고 아름다운 동네라는 것은 경제적인 부유함과는 거리가 멀지만, 아름다운 삶의 이야기들이 가득 찬 곳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