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문 규정(9)
-
다의어의 개념과 발생 원인
다의어의 개념 : 중심 의미와 확장 의미를 함께 지니고 있는 단어임 (예) · ‘버리다’ ∨ 물건을 버리다 ∨ 버릇/조국/생각을 버리다 ∨ ‘-아 버리다’ - 어떤 언어든 한정된 수의 음운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음절의 개수는 한정적이나 무수한 상황에서 표현하고 싶은 의미는 무한하기 때문에 발생함 - 어떤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품사로 쓰이는 경우도 해당됨 (예) 민수는 자기의 잘못을 알고 있었다. / 오빠는 상한 빵을 잘못 먹었다. - 다의어는 동음어와 구별됨 : 다의어와 동음어는 하나의 형태에 여러 개의 의미가 대응된다는 점에서 구조적 동일성을 가지고 있음 다의어는 ‘의미적 연관성’이나 ‘동일한 어원’ 기준 중 하나의 기준을 충족해야 함 (예) ‘다리’ : 신체, 구조물로 의미적 연관성이 없음, 어원이..
2024.02.06 -
유의어의 특징과 유형
유의어의 특징 : 어종 간의 차이를 갖는 말(한자어, 고유어, 외래어)들이 유의 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많음 - 서술성 명사에 접사 ‘-하다’가 붙어 용언 간의 유의 관계가 형성됨 (예) 감사(하다) - 고맙다, 증가(하다) - 늘다 - 두 단어의 의미상 유사성이 있으나 사용 상황이나 결합 관계에 차이가 있는 경우 대체될 수 없음 (예) 도와줘서 고마워. / 도와줘서 감사해.(??) 빨래를 했더니 옷이 줄었다. / 빨래를 했더니 옷이 감소했다.(X) - 유의어 짝의 범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음 -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유의어의 범위가 더 넓어질 수 있음 -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목표어의 두 단어가 모국어에서 한 단어로만 존재하는 경우에 두 단어가 유의 관계라고 생각함 - 한국어교육에서 유의어의 범위는 ..
2024.02.06 -
대가 vs 댓가 ? 숫자 vs 수자 ? 사이시옷 조항
한국어 어문 규범 제4장 제4절 제30항에 사이시옷 조항이 있다. 글을 쓰다보면 항상 헷갈리는 사이시옷. 대가/댓가, 수자/숫자. 예전에 학교를 다녔던 사람들이라면 더 많이 혼동이 있는 사이시옷 규범을 소개한다. 정답: 대가(O) 댓가(X) /숫자(O) 수자(X) 사이시옷을 쓰는 경우 첫째, 사이시옷은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합성어가 아닌 단일어나 파생어에서는 사이시옷이 나타나지 않는다. 예) ‘해님’은 명사 ‘해’에 접미사 ‘-님’이 결합한 파생어이므로 ‘햇님’이 아닌 ‘해님’이 된다. ‘햇빛’은 합성어이므로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둘째, 합성어이면서 다음과 같은 음운론적 현상이 나타나야 한다. 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바다+가→[바다까]→바닷가 ②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2023.04.01 -
'다시 한번', '다시 한 번' 띄어쓰기 무엇이 맞을까?
헷갈리는 띄어쓰기 '한 번'과 '한번'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다시 한번'의 띄어쓰기 표현으로 맞는 것을 찾아보겠습니다. 한번 : 시도, 기회, 강조를 의미함. 한번 쉬어 볼까? -> 시도의 의미 나중에 밥 한번 먹자 -> 기회의 의미 배포 한번 크다. -> 강조의 의미 한 번 : 횟수를 의미함. 한 번만 봐주세요. 아직 한 번도 못 했어? 한 번 더 나에게 '다시 한번' 국립국어원은 2015년 표준정보보완심의회 의결을 거쳐 의미에 상관없이 ‘다시 한번’의 구 형태에서는 ‘한번’을 붙여 쓴다고 결정했습니다. 즉 문맥을 따지지 않고 ‘다시 한번’으로 붙여 쓰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시 한번’에서 ‘한번’은 무조건 붙여 쓰면 됩니다.
2023.03.06 -
들, 뿐, 대로, 만큼, 지, 판, 등 띄어쓰기
의존 명사는 띄어쓰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의존 명사인지 조사인지 구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 의존 명사와 접미사, 어미 등의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한국어 어문 규정의 해설을 정리해 본다. 한글맞춤법 규정 5장 띄어쓰기 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꽃이, 꽃마저, 꽃밖에, 꽃에서부터, 꽃으로만, 꽃이나마, 꽃이다. 꽃입니다, 꽃처럼 어디까지나, 거기도, 멀리는, 웃고만 제41항은 제2항의 예외 규정이다. 보통 조사는 단어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조사는 자립성이 없어 다른 말에 의존해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 쓴다. 조사를 그 앞말에 붙여 쓴다는 말은 조사가 자립성이 있는 말 뒤에 붙을 때뿐만 아니라 조사가 둘 이상 연속되거나 어미 뒤에 붙을 때에도 그 앞말에 붙여 씀을 뜻한..
2023.03.05 -
돼요? 되요? '돼'와 '되' 구분하는 법 정리
생각보다 많이 헷갈려하는 단어가 '돼요/되요, 돼지/되지, 돼/되'입니다. 오늘은 '돼'와 '되'를 쉽게 구분하는 법을 정리하겠습니다. '돼'와 '되' 구분하는 법 우리말 '되다'는 동사입니다. 동사와 형용사는 활용을 하기 때문에 사전에는 기본형이 실려 있어요. 어간 어미 되 다 고 지 니 어 동사 '되다'는 '되고, 되지, 되니, 되어'처럼 변하지 않는 어간과 변하는 어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지요. 그렇기 때문에 문장이 끝날 때는 어미 없이 '되'로 끝날 수는 없습니다. 반드시 어간과 어미가 결합된 형태인 '되어'가 와야 합니다. '돼'는 '되어'의 줄임말이니 '돼'가 와도 됩니다. 예) 그러면 안 돼.(O) 그러면 안 되.(X) 내가 먹어도 돼? (O) 내가 먹어도 되?(X) 그럼 뒤에 '요'가 붙는 ..
202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