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봄(이성부)

2023. 1. 15. 19:24시 감상

728x90
반응형

             봄

                                                이성부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

썩은 물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한눈 좀 팔고, 싸움도 한판 하고,

지쳐 나자빠져 있다가

다급한 사연 들고 달려간 바람이

흔들어 깨우면

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

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

너를 보면 눈부셔

일어나 맞이할 수가 없다.

입을 열어 외치지만 소리는 굳어

나는 아무것도 미리 알릴 수가 없다.

가까스로 두 팔을 벌려 껴안아 보는

, 먼 데서 이기고 돌아온 사람아.

<감상>

이 시에서 로 의인화되어 있는 은 단순한 계절의 의미를 넘어서서 말하는 이가 부여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말하는 이에게 있어 기다림의 대상으로, 현재는 부재 상태에 있지만 언젠가는 회복될 수 있다고 믿는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즉 겨울이 지나면 반드시 봄이 오듯, 아픔과 절망이 언젠가는 사라지고, 반드시 희망이 도래할 것이라는 믿음을 드러내고 있다.

<작품 개관>

갈래: 현대시, 자유시, 서정시

성격: 상징적, 희망적

운율: 내재율

소재:

주제: 다가올 새로운 시대에 대한 강한 신념과 소망

특징: 대상을 의인화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함.

           ② 신념에 찬 어조로 말하는 이의 믿음을 강조함.

 
제재의 짜임
1~2 봄이 오는 자연의 당위성
3~10 봄이 오기까지의 더딘 과정
11~16 봄을 맞이하는 감격과 기쁨

 봄의 상징적 의미 :  반드시 오는 희망

         • 희망의 이미지
         • 간절한 기다림의 대상
         • 계절의 순환에 따라 당연히 와야 할 대상

 

  말하는 이의 태도

 너는 온다.’, 너는 더디게 온다.’, 마침내 올 것이 온다.’ 와 같은 단정적 어조를 반복하여 사용→ 간절한 기다림의 대상인 가 반드시 올 것이라는 믿음을 드러냄

 

 주요 시어와 의미

주요 시어 의미
말하는 이가 간절하게 기다리는 대상
뻘밭 구석’, ‘썩은 물웅덩이 이 오는 것을 가로막는 장애물, 시련과 역경
다급한 사연 이 어서 오기를 바라는 말하는 이의 간절함.
바람 말하는 이의 간절한 소망을 전달하는 매개체
 

 

728x90
반응형

'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종하 '딸을 위한 시'  (2) 2023.01.18
멧새 소리(백석)  (2) 2023.01.17
<시> 묵화(김종삼)  (1) 2023.01.14
<시 감상> 파도(강지혜)  (1) 2023.01.13
<시 감상> 나를 멈추게 하는 것들(반칠환)  (2) 2023.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