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의어의 특징과 유형
유의어의 특징
: 어종 간의 차이를 갖는 말(한자어, 고유어, 외래어)들이 유의 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많음
- 서술성 명사에 접사 ‘-하다’가 붙어 용언 간의 유의 관계가 형성됨
(예) 감사(하다) - 고맙다, 증가(하다) - 늘다
- 두 단어의 의미상 유사성이 있으나 사용 상황이나 결합 관계에 차이가 있는 경우 대체될 수 없음
(예) 도와줘서 고마워. / 도와줘서 감사해.(??)
빨래를 했더니 옷이 줄었다. / 빨래를 했더니 옷이 감소했다.(X)
- 유의어 짝의 범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음
-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유의어의 범위가 더 넓어질 수 있음
-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목표어의 두 단어가 모국어에서 한 단어로만 존재하는 경우에 두 단어가 유의 관계라고 생각함
- 한국어교육에서 유의어의 범위는 확장적으로 고려해야 함
: 언어학의 엄격한 의미적 유의 관계를 넘어서서 두 단어가 형태적 ·통사적 · 화용적 측면에서 겹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어휘 교수의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음
(예) 동물 - 짐승, 간 - 사이
- 유의 관계를 이루는 단어 간에도 기본적이거나 전문적인 것으로 나뉠 수 있으며, 난이도가 다를 수 있음
- 교수의 순서를 달리하여 순차적인 교수가 이뤄지도록 함
유의어의 유형
1. 차용(어종의 차이)에 의한 유의어
- 한자어, 외래어가 유입되며 기존에 있던 고유어와 의미 중첩 관계를 가짐
(예) · 같다 - 동일하다, 열쇠 - 키
2. 화용상의 차이(어감의 차이)에 의한 유의어
(예) 입 - 주둥이
3. 사회적 변이에 의한 유의어 : 지역 방언, 사회계층 간 차이를 드러내며 본래 방언이었다가 표준어가 됨
(예) 옥수수 - 강냉이
4. 성별 · 연령의 사용 차이에 의한 유의어
(예) 맘마 밥, 까까 - 과자
5. 금기에 의한 유의어
(예) 죽다 돌아가다 숨지다 눈감다 - 사라지다
6. 글말 · 입말 환경에서의 유의어
(예) 매우 - 되게
7. 언어적 특성에 따른 분류
- 음운론적 유의어 : 구성 요소의 음운 차이를 보임 (예) 하얗다 - 허옇다
- 문법적 유의어: (예) (~은) 것 같다 - (~을) 듯하다 - (~을) 성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