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장의 내용과 형식
악장은 나라의 공식적인 행사인 제향, 연향, 조회, 책봉 등에서 사용하던 음악의 노랫말임
1. 고려 악장
• 이전 왕조와 중국 왕조의 음악과 악장을 수용하고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을 거쳐 확대됨
• 형식의 일관성보다 목적성이나 내용의 공통성으로 묶인 갈래임
• 한문과 한글을 함께 사용하여 갈래 성격을 규정하기 어려움
• 가사(歌詞), 악사(樂詞)로도 불림
내용
• 개인적 서정과는 거리가 있음
• 국가의 정치적 목적과 칭송 교훈적 내용이 포함됨 ,
• 예악의 정비라는 음악적인 면을 고려하여 작품 외적 세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형식
① 장시로 구성된 시경체의 한시 악장
조선 초기 악장의 중심에 위치함
국문 시가의 영향으로 후렴구를 지님
4언 중심의 시경체 + 초사체
②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형식을 이용한 국문악장
우리말 가사로 이루어짐
조선 초기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으로 집대성 함
연장 형식과 분절 구조를 가짐
③ 한시에 현토를 붙인 한시현토악장
한시악장과 국문악장의 중간적 성격을 가짐
특징
• 조선 초기까지 이어짐
당악이나 송악의 악무: 궁중의 연회에서 공연
아악의 악무: 각종 제향에서 공연
• 공민왕 대 고려조 제례악장 규범이 확립됨
- 시경의 다양한 구절을 모아 일관된 구조로 완결시키는 집구법(集句法)이 사용됨
- 조선 시대 아악 악장으로 이어짐
‣ < > 휘의공주혼전악장
• 연향에 사용된 악곡은 당악이나 속악에 속함
『 고려사 악지 』 「 악1 서문 」: 공민왕 때 명나라 태조가 아악을 내려 조정과 태묘에 썼고 당악과 삼국시대의 음악 및 속악도 섞어 사용했다 속악은 노랫말이 비속한 것이 많으므로 그 중 심한 것은 다만 노래 이름과 노랫말의 대의만 기록하고 이것들을아악 당악 속악으로 분류하여 악지를 만들었다 · · .’
2. 조선 악장
내용
•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으로 예악을 정비하면서 본격적으로 창작함
• 국가의 정치적 목적과 칭송 교훈적 내용으로 구성됨 ,
- 최초의 악장: 정도전, <납씨가(納氏歌)>(1393)
형식
① 고려에서 사용되던 당악 속악 아악이 조선 음악의 기반을 형성 , ,
<납씨가>와 <청산별곡>의 선율 거의 동일함
<대국>과 <청산별곡>의 전 곡과 동일함
<처용가>가 <봉황음>으로 가사만 대체함
<정동방곡>은 <서경별곡>의 곡조만 계면조로 바꿈
② 훈민정음의 창제를 계기로 형식과 내용에 큰 변화가 생김